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슬랙을 통해서 진행을 하였다. 기존에 카카오톡이나 메일을 이용한 것 보다 많은 장점이 있었다. 슬랙은 기업용 메신저로 작은 프로젝트나 회사 내부 커뮤니케이션 및 협업 툴로 많이 이용하고 있다. 무료 버전과 유료 버전이 있으며 물론 유료 버전에 가입하면 더 많은 혜택과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. 채널이라는 것을 만들어 대화 및 업무가 진행 되며 인원 제한 등이 없다. 슬랙의 장점은 메신저 이상의 다양한 기능이라고 생각한다. Git, Trello 등의 알림을 슬랙을 통해 받을 수 있어서 개발자 입장에서 편했던 것 같다. 또한 파일 공유가 가능하며 내가 원하는 내용만 push 알림을 받을 수 있었다. 다양하게 흩어져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알림을 슬랙을 통해 한번에 받을 수 있었다. 사진..
공부/기타
2018. 8. 24. 17:39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17144
- 시간 복잡도
- 알고리즘
- DP
- 새로운 게임 2
- 17837
- 입출력
- STL
- 미세먼지 안녕!
- SW Expert Academy
- 트렌드
- 게리맨더링 2
- 팁
- 17779
- SWEA
- 삼성
- boj
- 2018 카카오 블라인드 채용
- 17142
- 17140
- 2018 KAKAO BLIND RECRUITMENT
- string
- DFS
- 연구소 3
- 백준
- 역량 테스트
- scanf
- hackerrank
- 17143
- 이차원 배열과 연산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글 보관함